영천 황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천 황보씨는 고려 태조 때 금강성장군 황보능장을 시조로 하고 영천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많은 명신을 배출하여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했으나, 시조 이후 세계가 불분명해져 고려 말 진주 목사 황보안을 기세조로 하여 세계를 잇고 있다. 고려 시대에는 황보영, 황보탁, 황보항, 황보기 등이 명성을 떨쳤으며, 조선 시대에는 황보림이 공민왕 때 홍건적을 토평하고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그의 아들 황보인은 세종 때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지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당했다. 영천 황보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10명, 무과 3명, 생원시 1명, 진사시 1명의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2015년에는 약 1만 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영천 황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한국의 씨족 |
기원 | 경상북도 영천시 |
창시자 | (황보능장) |
역사 | |
창시 시기 | 알 수 없음 |
구성 | |
주요 인물 | 황보관 황보인 황보항 (황보능장) |
추가 정보 | |
관련 링크 | 영천 황보씨 대종회 웹사이트 |
2015년 인구 | 10,001명 |
2. 역사
고려 태조 때 황보능장(皇甫能長)이 공을 세워 영천부원군(永川府院君)에 봉해지면서 영천 황보씨가 시작되었다. 황보씨는 고려 시대에 여러 명신을 배출하며 문벌귀족 가문으로 성장했으나, 시조 이후 세계가 불분명하여 고려 말 황보안(皇甫安)을 기세조로 삼았다. 황보안의 아들 황보림(皇甫林)은 위화도 회군에 가담하여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웠고, 황보림의 아들 황보인(皇甫仁)은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세조)에게 살해당하고 가문은 큰 타격을 입었다.[1]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시조 '''황보능장'''(皇甫能長)은 고려 태조 때 금강성장군(金剛城將軍)으로 공을 세워 영천부원군(永川府院君)에 봉해졌다. 황보씨는 그를 시조로 삼고 영천을 본관으로 삼았다. 황보능장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창암리에 있으며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낸다.[1]황보씨는 고려 시대에 황보영(皇甫穎), 황보탁(皇甫倬), 황보항(皇甫抗), 황보기(皇甫琦) 등 많은 명신을 배출하여 문벌귀족 가문으로서의 지위를 굳혔다.[1]
그러나 시조 이후 세계가 불분명하여 고려 말에 진주 목사(牧使)를 지낸 '''황보안'''(皇甫安)을 기세조(起世祖)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1]
2. 2. 조선 초기: 번영과 몰락
기세조 황보안(皇甫安)의 아들 황보림(皇甫林, 1333년 ~ 1394년)은 공민왕 때 홍건적의 난을 평정하여 일등공신에 올랐고, 고려에서 전법판서(典法判書)와 예의판서(禮儀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1388년(우왕 14) 요동 정벌 때 부원수로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가담하여 일등공신에 오르고 삼도도체찰사가 되었으며, 조선 건국 후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에 올랐다.[1]황보림의 아들 황보인(皇甫仁)은 음서(蔭敍)로 사헌부감찰 등을 역임하다가 1414년(태종 14) 문과에 급제하여 세종 때 우의정·좌의정을 역임하고, 1452년(문종 2) 영의정이 되어 어린 단종을 보필하다가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당했다.[1] 그의 두 아들 참판 황보석(皇甫錫)과 직장(直長) 황보흠(皇甫欽), 아들 황보원(皇甫源), 황보문(皇甫汶) 등 다섯 명이 화를 당하면서 영천 황보씨 가문은 큰 타격을 입었다.[1]
3. 주요 인물
고려 태조 때 금강성장군으로 공을 세워 영천부원군에 봉해진 '''황보능장(皇甫能長)'''을 시조로 한다. 황보능장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창암리에 있으며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황보씨는 고려조에 황보영, 황보탁, 황보항, 황보기 등 많은 명신을 배출하여 문벌귀족 가문으로서의 지위를 굳혔다. 그러나 시조 이후 세계가 불분명하여 고려 말 진주 목사를 지낸 '''황보안(皇甫安)'''을 기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3. 1. 고려 시대
- 황보영(皇甫穎, ? ~ 1047년) : 1023년(현종 14) 전중시어사, 1031년(덕종 즉위년) 어사잡단, 어사중승을 거쳐 1032년 상서우승 지어사대사, 1034년 중추부사, 1035년 중추사 겸 어사대부, 1036년 병부상서를 역임했다. 1041년 서경유수사 참지정사로서 대동강에서 어가를 영접하고 수사공 좌복야가 되었다. 1043년(정종 9) 내사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 상주국, 1047년(문종 1)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로 치사하였다.[4]
- 황보탁(皇甫倬) : 1154년(의종 8) 과거에 장원 급제하고, 1178년(명종 8) 기거주로서 춘주도에 파견되어 백성의 애로 사항을 조사하고 관리와 봉사자들의 상벌을 고과하여 탄핵하였다. 1186년(명종 16) 동지공거로서 진사를 선발하고, 대사성(大司成)으로서 국자시를 주관하였다.[4]
- 황보항(皇甫抗) : 문한을 세업으로 하던 귀족가문 출신으로, 강좌칠현의 한 사람이다. 1176년(명종 6) 승보시에 수석 급제하여 중원서기를 역임하였다.[4]
- 황보기(皇甫琦, ? ~ 1285년) : 1245년(고종 32) 대장군으로서 몽골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왔고, 1252년 판대부사로서 동지공거가 되었다. 1257년 좌복야, 1258년 추밀원부사를 거쳐 1260년(원종 1) 원종이 원나라에서 환국할 때 동지추밀원사로서 서경에서 어가를 봉영하였다. 문하시랑평장사로 치사했다.[4]
- 황보림(皇甫林, 1333년 ∼1394년) : 진주목사 황보안의 아들이며, 평장사 안우의 사위이다. 안우 휘하에서 무공으로 별장에 제수된 뒤 공부시랑에 이르렀다. 공민왕 즉위 후 군무에 밝아 종부령에 임명되었으며, 홍건적 격퇴 공으로 1363년(공민왕 12) 1등공신에 녹공되었다. 1374년 판종부시사로서 판삼사사 최영의 휘하에서 제주 목호의 난을 평정하였다. 1380년(우왕 6) 예의판서로서 전라도병마사가 되었다. 1382년 밀직부사로서 영해군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하고, 다음해 왜구가 거령·장수현 등을 함락시키고 전주를 침략하자 부원수로서 여현에서 물리쳤다. 1385년 정월 안동원수로서 적을 무찌르고, 1388년 4월 요동정벌 때는 우군도통사 이성계 휘하에서 종군하여 위화도회군에 가담, 1390년(공양왕 2) 회군1등공신에 포록되었다. 1388년(창왕 1) 왜적들이 광주를 함락시키니 양광경상전라도도체찰사가 되어 남원에서 왜구를 무찔렀다. 1389년 밀직사로서 천추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고, 1390년 서북면도절제사 평양윤, 다음해 전라도절제사에 임명되었다.[4]
3. 2. 조선 시대
황보림(1333년 ~ 1394년)은 공민왕 때 홍건적을 격퇴하여 1등 공신에 올랐고, 고려에서 전법 판서와 예의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388년(우왕 14)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가담하여 1등 공신에 오르고 삼도 도체찰사가 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 지중추원사에 올랐다.[4]황보림의 아들 황보인(? ~ 1453년)은 1414년(태종 14) 문과에 급제하여 세종 때 우의정·좌의정을 역임하고, 1452년(문종 2) 영의정이 되어 어린 단종을 보필하다가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당했다. 황보인은 세종 때 병조 판서를 거쳐 평안·함길도 체찰사가 되어 10년 동안 김종서와 함께 육진을 개척하기도 하였다.[4] 계유정난으로 황보인의 두 아들 참판 황보석(皇甫錫)과 직장(直長) 황보흠(皇甫欽), 소자 황보원(皇甫源), 황보문(皇甫汶) 등 다섯 사람이 화를 당하니 영천 황보씨에게 큰 타격이 되었다.
4. 과거 급제자
구분 | 이름 |
---|---|
고려 문과 | 황보관(皇甫瓘), 황보기(皇甫琦), 황보서(皇甫諝), 황보위(皇甫緯), 황보탁(皇甫倬), 황보허(皇甫許)[5] |
조선 문과 | 황보공(皇甫恭), 황보규(皇甫規), 황보량(皇甫良), 황보인(皇甫仁)[5] |
무과 | 황보숙(皇甫淑), 황보준(皇甫峻), 황보철(皇甫哲)[5] |
생원시 | 황보신(皇甫信)[5] |
진사시 | 황보탄(皇甫坦)[5] |
5. 인구
연도 | 인구(명) | 가구 수 |
---|---|---|
2000년 | 8,877 | 2,806 |
2015년 | 10,001 | - |
2000년 8,877명이던 영천 황보씨 인구는 2015년 10,001명으로 증가하였다.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영천황보씨 永川皇甫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8
[4]
웹사이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황보림
http://encykorea.aks[...]
[5]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